간호학은 응용학문으로 이를 전공하는 간호대학생에게 졸업 과 동시에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대학교육의 목적이 학문탐구에 초점을 두는 것이 적절한가, 사회의 특정 전문분야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시키는 것 이 필요한가에 대해서는 교육 철학과 신념에 따라 의견을 달 리 할 수 있을 것이다. 간호전문직은 학문의 특성상 대학 교 육을 통해 전문적 지식의 함양뿐만 아니라 졸업 후 전문 직 업분야에서 전문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술의 습득까 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졸업 시 갖추어야 하는 역량에 대한 논의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Ko, et al., 2013 ; Lee, Park, & Chung, 2012). 교육의 관점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는데, 시험 성적이 실 제의 능력을 반영하지는 못한다는 인식과 함께 최근의 초점 은 '졸업생이 무엇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가? 어떤 학습성 과(Learning outcomes)를 내도록 할 것인가'로 집약될 수 있으 며, 이른바 역량기반 교육과정(Competency based curriculum) 을 추구하고 있다. 이는 '그러한 학습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어떤 역량을 갖추어야 하는가(교수-학습 목표)', '이 러한 역량을 갖추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교수-학습 방법)', '이러한 역량을 갖추었는지를 어뗳게 확인하는가(교수-학습평 가)'의 질문으로 이어지면서 각 전공 학문분야에서는 핵심적 으로 다루어야 할 '역량(Competency)'과 이를 확인하기 위한 평가방안은 무엇인가에 대한 교육적 관심이 집중되어 왔다. 역량은 McClelland (1973)가 개념을 소개한 이후 주로 직무 또는 직업과 관련하여 논의되기 시작하였는데, 직업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각 학문분야의 교육과정에 요구하면서 대학 의 교육과정에서도 관심을 갖고 이를 추구하게 되었다. O'Neil (1999)이 건강전문직의 평가는 지속적으로 역량을 검 토하고 이의 달성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학습자의 핵심역량 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한 점 을 고려할 때, 간호사 면허시험에서는 실기를 포함한 종합적 평가를 하고 있지는 못하지만 간호사의 역량에 초점을 두어 야하는 시대적 요구는 명확해 보인다. 외국의 경우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개발하거나 개정한 대학의 사례는 여러 문헌에서 도 제시되고 있다(Arcand & Neumann, 2005; Anema & McCoy, 2010). 미국의 간호대학 협의회에서 설정한 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9가지의 필수 요소에 따라 간호대학의 교육과정 을 개정한 Mailloux (2011)의 연구 논문이나 이 필수요소와 교육 내용을 맵핑을 통해 확인한 Landry 등(2011)의 연구는 간호역량이나 성과가 어떻게 교육과 연계되고 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고등교육에서 책무성 제고에 대한 관심은 어제오늘의 일이
CITATION STYLE
Park, Y. I., Kim, J. A., Ko, J.-K., Chung, M. S., Bang, K.-S., Choe, M.-A., … Jang, H. Y. (2013). An Identification Study on Core Nursing Competenc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4), 663–674.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4.663
Mendeley helps you to discover research relevant for your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