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 Kim J
  • Lee L
  • Lee S
N/ACitations
Citations of this article
22Readers
Mendeley users who have this article in their library.

Abstract

인슐린은 1922년, Banting 등[1]에 의해 처음 발견된 이 래 당뇨병의 치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생체 내 포도당 대사 및 생명 현상의 유지에 필수적인 펩타이드 호르몬이다. 인슐린은 근육과 지방 조직에서 포도당이 흡수되어 적절히 이용되게 하고, 간에서 당신생을 억제하여 혈중 포도당을 일 정하게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인슐린은 이러한 전통적인 대 사작용 외에도 뇌, 췌장 베타세포, 심장, 혈관내피세포 등에 작용하는데 대사작용과 연계하여 생명 현상을 조절한다. 대표 적인 예로 인슐린은 혈관내피세포에서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PI3K)를 경유하는 세포 내 신호전달체계를 통하 여 nitric oxide (NO)를 생성함으로써 혈관확장 효과를 나타 내고,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를 경유하 는 세포 내 신호전달체계를 통해 강력한 혈관 수축 물질인 endothelin-1 (ET-1)을 생성하여 혈관수축작용을 나타내는 데, 건강한 상태에서는 이 두 가지 신호전달체계가 적절히 균형을 이루고 있지만, 이 균형이 깨어지게 되면 각종 병적 인 상태가 나타나게 된다[2]. 인슐린 저항성이란 1936년, 더 많은 용량의 인슐린이 치료에 필요한 당뇨병 환자를 기술하 면서 처음 제안된 개념으로[3], 전통적으로 인슐린 감수성이 감소한 상태, 즉 인슐린 매개 포도당 흡수와 간에서의 당신 생을 억제하는 인슐린의 대사 작용에 대한 반응이 감소한 상태를 일컫는다. 인슐린 저항성은 제2형 당뇨병의 발생에 주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고혈압, 비만, 관 상동맥질환, 이상지질혈증 등의 주요 보건 문제와 더불어 이 들 대사질환과 심장혈관질환들의 집합체로 정의되는 대사증 후군의 핵심적인 원인요소로 잘 알려져 있다[4]. 전 세계적 으로 비만한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는 제2형 당뇨병의 발생 률과 유병률, 그리고 이와 관련된 심혈관계 합병증의 급격한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5]. 따라서 인슐린 저항성을 인체와 실험 동물에서 정확하게 측정하여 인슐린 저항성의 유병률 과 병태생리학적인 기전, 치료 효과, 인슐린 저항성을 가진 환자의 임상 경과 등을 규명하고 이를 임상에 적용하는 것 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인슐린 저항성을 정확히 측정하는 방법을 고안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지상강좌에서는 인 슐린 저항성의 측정을 위하여 개발된 각종 기법들에 대해서 설명하고, 이를 임상 연구와 환자의 진료에 적용하는데 도움 이 되고자 하였다. 직접적인 인슐린 저항성 측정 방법 1. 고인슐린혈증 정상혈당 글루코스 클램프 (Hyperinsulinemic Euglycemic Glucose Clamp) 글루코스 클램프 기법은 DeFronzo 등에 의해 처음 개발 이 되었는데, 현재 생체 내 인슐린 감수성 및 저항성을 측정 하고 평가하는 가장 표준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6]. 밤 새 금식시킨 환자에게 인슐린을 일정한 속도로 정주하게 되 면, 금식 상태일 때보다 높은 농도의 새로운 평형 상태인 인 슐린 농도가 유지되는데, 이 때 간에서의 당신생은 억제가 되고, 근육과 지방 조직에서의 글루코스 흡수는 증가하게 된 다. 이런 상태에서 환자 옆에 위치한 글루코스 측정기로 5분 에서 10분 간격으로 환자의 혈당을 지속적으로 측정하면서, 20% 덱스트로스 용액을 일정한 혈당이 유지되도록 주입 속 도를 조절하면서 정주한다(Fig. 1). 고인슐린혈증과 당흡수 의 증가로 인한 저칼륨혈증을 예방하기 위해 칼륨 용액도

Cite

CITATION STYLE

APA

Kim, J., Lee, L. Y., & Lee, S. (2009).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Journal of Korean Endocrine Society, 24(2), 75. https://doi.org/10.3803/jkes.2009.24.2.75

Register to see more suggestions

Mendeley helps you to discover research relevant for your work.

Already have an account?

Save time finding and organizing research with Mendeley

Sign up for free